본문 바로가기

Spring Boot3

스프링부트 Controller에 관한 개념 컨트롤러란? 요청을 할 때마다 Java 파일이 호출 요청이 종류가 3개이면 3개의 Java 파일이 필요 하나의 Java파일에서 모든 요청을 받는 FrontController을 사용 너무 많은 요청이 한곳으로 모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메인 별로 분기 분기의 일은 Servlet Dispatcher가 해준다.- 스프링부트는 이미 만들어져있음 http 4가지 요청 방식 클라이언트가 웹서버에 요청한다. 웹서버는 DB에 SELECT, INSERT, UPDATE, DELETE 요청을 해서 응답한다. GET(동사) - 데이터 요청 ( GET 요청은 주로 데이터를 요청하고 가져오는 데 사용 ) POST(동사) - 데이터 전송 PUT(동사) - 데이터 갱신 DELETE(동사) -데이터 삭제 http://IP주소/use.. 2024. 3. 23.
yml 파일 설정 및 이해 yml 파일이란? 일종의 구성 파일이며, 스프링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정의한다. 이 파일을 참고하여 스프링 서버가 실행될 때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여러 기능과 설정이 적용된다. 이 설정 파일은 스프링 애플리케이션의 다양한 부분을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연결 정보, 빈(Bean)의 정의, 서비스 구성, 보안 설정 등이 있다. yml 파일을 통해 이러한 설정들을 구조화하고 명시함으로써 스프링 애플리케이션이 예상대로 동작하도록 한다. 스프링 서버가 실행될 때는 이 yml 파일에 정의된 설정들을 읽어들여 해당 설정에 맞게 스프링 컨테이너를 초기화하고 빈을 등록한다. 따라서 yml파일에 적절한 설정을 정확하게 작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스프링 애플리케이션이 정상.. 2024. 3. 23.
[스프링부트 개념정리] 필터란 무엇인가 스프링 핵심은 무엇인가 1. 스프링은 프레임워크이다. FrameWork Frame / work 틀안에서 / 동작한다. 2. 스프링은 오픈 소스이다. 오픈 소스 : 소스 코드 공개 즉 내부를 뜯어 고칠 수 있다. 3. 스프링은 IOC컨테이너를 가진다. (제어의 역전) 주도권이 스프링에 있다는 것이다. class : 설계도 object : 실체화가 가능한 것 instance : 실체화 된 것 내가 직접 object를 new해서 heap공간에 올리게 된다면? ex ) 의자 S = new 의자(); new 의자() : 의자 클래스의 새로운 인스턴스를 만들고(실체화), 이 인스턴스에 대한 참조를 변수 S에 할당 변수 S는 생성된 의자 객체를 가리키는 참조 변수, S는 실제로 메모리에서 의자 객체의 위치를 가리키는.. 2024. 3. 5.